질환정보

의료원 블로그에서 더 자세히 소개된 건강 정보를 읽어보세요.

[명의예감] 병원 밖 심정지환자의 응급처치와 치료 - 김정호 교수(응급의학과)

작성자 : 홍보협력팀  

조회 : 2924 

작성일 : 2019-10-30 09:07:35 

file 김정호 교수(응급의학과).JPG

[명의예감] 병원 밖 심정지환자의 응급처치와 치료 - 김정호 교수(응급의학과)

병원 밖 심정지

응급실에는 하루에도 수많은 환자들이 내원한다. 누구나 생명이 위험하거나 급한 마음으로 응급실을 방문하겠지만, 그 중에도 급성심혈관, 급성뇌혈관, 중증외상 및 심정지환자들은 즉시 필요한 응급처치를 받지 아니하면 생명을 보존할 수 없거나 치명적인 후유증이 남게 되는 대표적인 중증응급환자이다. 이러한 중증응급질환은 ‘골든타임’ 이라하여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한 병원으로 방문하여 최종 진료를 받아야 더 나은 결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이 중, 심정지환자는 가장 골든타임이 짧은 환자라고 할 수 있다. 심정지가 발생하여 산소공급이 중단된 인간의 두뇌는 의학적으로 평균 4분 후부터 치명적 손상이 시작되고 10분이 지나게 되면 생존이 불가능해진다고 한다. 따라서 이 시간 내에 어떠한 방법으로든 혈액순환과 산소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이러한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를 우리는 ‘심폐소생술’이라 부른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병원 밖에서 이러한 심정지환자가 발생했을 때 우연히 인근에 훈련된 전문가들이 있지 않는 한 심폐소생술이 제공되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병원 밖 심정지 환자는 대구시에서만 1년에 대략 1,000여 명 이상 발생하지만, 생존율은 10%가 채 되지 않는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평균적으로 119 구급대가 신고 후 현장까지 도착하기에는 평균 약 6분 가량이 소요된다. 결코, 늦게 도착하는 것은 아니지만, 심정지환자에서는 이미 뇌손상이 시작되고나서 도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후 생존가능성이 감소되거나, 생존을 하게 되더라도 뇌손상으로 인한 후유증이 남을 가능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병원 밖 심정지환자의 생존을 그저 운에 맡겨야만 하는 것일까?

아니다. 우리는 누구나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로, 119 신고와 함께 심폐소생술을 해주는 것이다. 일반인들에 실시할 수 있는 기본심폐소생술은 시작하기에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며, 심지어는 초등학생도 시도할 수 있게 구성이 되어있다.

우선 주위에서 갑자기 쓰러지는 사람을 보게 되면, 의식이 있는지 가볍게 어깨를 두드려 확인한다.(신속한 확인, 우기). 그 다음으로, 반응이 없다면 119에 신고를 한다(신고, 리기). 그리고, 연결된 119 요원의 지시에 따라 필요시 가슴압박을 실시한다(심폐소생술, 르기). 이어서 잠시 후, 119구급대가 도착하면 구급대원들에게 처치를 맡기면 된다 (그림 1). 경우에 따라 심장충격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상황에 따라 가능할 경우 사용하게 된다. 최소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보다는 가슴압박을 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될 가능성이 많으니 비록 일반인이라도 119신고 후 즉각적으로 현장에서 이러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면 환자에게는 더 많은 생존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심정지 후 통합치료

일반적으로 119 구급대가 심정지 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10분에서 15분 가량 현장심폐소생술을 제공하게 되며, 필요하다면 구급차에 배치 중인 심장충격기로 제세동술을 실시하기도 한다. 그리고 지침에 따라 가장 가까운 응급의료센터로 이송을 실시하게 된다. 병원에 도착 한 후 전문 의료진에 의하여 전문소생술이 제공되게 되며, 만약 환자의 맥박이 돌아오게 되면 ‘심정지 후 통합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그림 2).

심정지 후 통합치료에는 심정지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각종 검사, 원인이 확인될 경우 그에 대한 여러 임상과들과의 협진을 통한 각종 중재술의 실시, 추가적인 뇌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한 목표체온유지치료 등이 포함된다.

우리 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는 응급의학과와 함께 여러 주요 과의 교수진 및 의료팀들이 전문소생술 및 자발순환회복이 이루어진 심정지 환자에 대한 심정지 후 통합치료를 하루 24시간, 일주일에 7일, 일년 365일 제공하고 있다.

심정지는 여러 중증응급질환 중에서도 가장 시간에 민감한 질환이며 극도로 골든타임이 짧고, 다양한 처치를 하더라도 환자가 반드시 걸어서 퇴원한다는 보장은 없다. 또한, 우리나라가 2017년에 고령 사회에 진입하면서 자연스럽게 그 발생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 지역의 지자체, 소방 및 여러 지역 내 병원들과 의료진들의 다양한 노력을 통하여 대구지역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심정지환자의 소생률은 아직도 매우 낮은 범주에 머물러 있다.

심정지환자가 더 많은 생존의 기회를 가지기 위해서는 목격자의 역할이 너무나 중요하기에 깨·알·누(깨우고 알리고 누르기)를 꼭 기억해주시기를 바란다. 더불어 우리 병원 응급의료센터가 권역응급의료센터로 발돋움하는 이즈음에, 지역사회에 이바지하고 더 많은 환자들에게 더 나은 의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인적으로도 더욱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져본다.